본문 바로가기
국민연금

2023년 월급여 명세서 공제항목 4대보험 요율 및 계산기 총정리

by 야누스 2023. 2. 12.
300x250

▷2023년 월급여 명세서 공제항목 4대 보험 요율 계산기 총정리

 

근로자 가 직장을 잡고 일을 시작하게 되면 무조건 가입해야 되고 자연적으로 가입되는 보험 이 4대 보험 (국민연금, 산재보험, 건강보험, 고용보험)입니다.

내가 원하지 않든 원하든 자연적으로 가입되기에 내 급여에서 정확히 얼마를 공제하는지 알지를 못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세금을 공제 하는 보험요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보험요율 이란?

 

쉽게 이야기하면 보험계약을 체결할 때 보험료를 결정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보험료를 기준보험금액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며 보험금에 대한 계약자의 비용부담을 표시합니다.

1. 국민연금 보험요율

2. 건강보험 보험요율

3. 장기요양보험 요율

4. 고용보험 보험요율

5. 산재보험 요율

6. 소득세 / 지방소득세 보험요율

4대보험

1. 국민연금 보험요율

 

현재 국민연금 은 많은 문제점을 보여주며 우리나라 의 가장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어 많은 국민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은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공적연금제도로 목적은 국민의 노후 생활비를 최소한 보장해 주기 위한 연금입니다. 현재 는 만 60세 가 넘으면 연금형태로 수령 이 가능합니다.

국민연금

 

또한 국민연금 은 월소득액 산정기준 이 있으며 2022년 7월 ~ 2023년 6월까지 적용되는 기준으로 상한액은 553만 원이며 하한액 은 35만 원입니다. 국민연금 은 회사와 개인이 각각 50% 부담되며 2023년 현재 보험요율은 9%이며 회사 와 근로자가 각각 4.5% 씩 부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국민연금 개혁을 논의하고 있으며 논의 하고 있는 내용 중 하나가 국민연금 보험요율을 15% 까지 올린다 이기에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르겠습니다.

국민연금

 

2. 건강보험 보험요율

 

건강보험 은 근로자가 질병, 사망, 상해 등으로 발생하게 되는 지출의 부담을 감소해 주기 위해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의무로 납부하고 보장받는 보험입니다. 질병이나 사고 등으로 병원에 방문 할시 병원비 나 처방받은 약을 약국에서 구매할 때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내시경

2023년 건강보험 은 근로자와 회사가 각각 3.545% 부담하게 됩니다. 2022년 대비 0.05p 씩 올랐으며 비율로 따지면 각각 1.43% 가 올랐습니다. 지역 가입자의 경우 2022년 9월 1일 이후 계산방법 이 변경되어 2023년 점수당 금액은 208.4원입니다.

계산기

3. 장기요양보험 요율

 

65세 이상 노인 혹은 노인성 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비용을 말하며 세신 세수 식사 등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장기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비용입니다.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 × 12.81% 를 부담하게 되며 2022년 에는 건강보험료 × 12.27% 였기에 2022년 대비 2023년 0.54p 가 증가 하였습니다.

기초연금

4. 고용보험 보험요율

 

코로나19 가 장기화 되며 자의적 또는 타의적으로 실직을 하는 분 들이 많이 생기며 실업급여를 신청하고 관심을 받는 분들이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또한 실업급여 또한 국민연금과 같이 국가에서 2023년 크게 개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실업급여

고용보험 은 실업급여사업과 함께 구직자에 대한 직업능력개발 향상 및 재취업의 촉진과 실업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보험입니다. 고용보험 은 비과세액을 제외한 월급에서 0.9% 를 공제하며 그 외 비용은 회사에서 부담합니다.

 

5. 산재보험 요율

 

산재보험 은 근로자 가 근로 중에 생기는 산업재해를 당한 근로자와 근로자의 가족 등을 보호하기 위한 명목으로 도입된 의무보험을 말합니다.

산업재해

산재보험 보험요율은 회사 업종에 따라 달라지며 근로자는 산재보험 료 를 부담하지 않으며 100% 사업자가 부담하게 됩니다.

 

6. 소득세 / 지방소득세 보험요율

 

소득세는 국가운영에 보태는 금액을 말하며 월소득 금액과 부양가족수에 따라 차등책정 되며 지방소득세는 노동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세수로 사용되며 소득세의 10% 를 공제합니다.

 

이렇게 오늘은 내 월급명세서에서 공제 되는 4대 보험 요율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매달 왜 이렇게 세금을 많이 때가나 하는 의문만 생각하지 말고 내 급여에서 얼마의 세금을 때 가는지 정확히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300x250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