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생활 수급

2025년 이혼 후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금 총정리 - 한부모·생계·주거·양육비까지

by 야누스 2025. 5. 1.
300x250

2025년 이혼 후 생계 걱정이라면? 꼭 신청해야 할 정부지원 5가지

“남편이 나가고, 나는 아이랑 월세방… 이제 뭘로 살아야 하죠?”

이혼은 감정의 끝이자, 생계의 시작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이혼 가정에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생계, 주거, 의료, 양육까지 꼭 챙겨야 할 정부 혜택 5가지를 지금 알려드립니다.

목차

1. 한부모가족 지원제도 – 매달 최대 30만원 지원

  • 대상: 만 18세 미만 자녀를 양육하는 한부모
  • 지원금: 아동양육비 월 20~30만 원
  • 추가 혜택: 전기요금, 교통비, 통신비 감면
  • 신청: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https://www.bokjiro.go.kr/ssis-tbu/

 

www.bokjiro.go.kr

한부모가정 등록만으로도 월 20만 원 이상이 지급됩니다.

2. 기초생활수급자 전환 – 최대 80만원 생계지원

  • 조건: 무소득, 무주택, 단독세대
  • 지원항목: 생계급여 + 주거급여 + 의료급여
  • 소득기준: 중위소득 30~50% 이하

이혼 직후 단독세대 등록이 가장 유리합니다.

3. 긴급복지 생계지원 – 당장 필요한 돈을 즉시 신청

  • 지원금: 1인 75만 원 / 2인 이상 100만 원 이상
  • 조건: 이혼, 실직, 생계 위기 시
  • 신청: 주민센터 방문, “긴급복지 요청합니다”라고 말하면 OK

갑작스런 이혼으로 돈이 끊겼다면 가장 먼저 신청해야 할 제도입니다.

4. 임대주택 신청 – 이혼한 여성에게 가점 우선

  • 신청처: LH, SH 등 공공임대
  • 혜택: 보증금 없이 입주 + 월세의 90% 지원
  • 가점 조건: 자녀 양육 중인 여성 + 저소득층
이혼 + 아이 있는 가정이면 집 문제는 해결 가능합니다.

5. 양육비/위자료 미지급 – 국가가 대신 받아줍니다

  • 대상: 위자료 또는 양육비 미지급자
  • 지원기관: 대한법률구조공단
  • 혜택: 무료 변호사, 법률대행, 추심 지원

양육비 안 주는 전 배우자는 이제 정부가 대신 추심해줍니다.

이혼해도 국가가 돕습니다

이혼은 삶의 리셋 버튼입니다. 하지만 지금의 어려움은 국가 지원으로 버틸 수 있습니다. 위 제도 중 한 개라도 해당된다면 반드시 신청해보세요.

플로팅 버튼
300x250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