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x250 임금3 퇴직금 을 더 많이 받고 퇴사 하는 방법 총정리 ▶퇴직금을 더 많이 받고 퇴사하는 방법 총정리 직장을 다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이직 또는 사직 을 합니다. 직장인 들은 누구나 가슴속에 사직서 한 장쯤은 품고 다닌다고 하는데 사직서를 내는 것도 무조건 사직서를 내는 게 아닌 방법 이 있다는 걸 알고 있나요? 사직서를 잘못낼경우 받을 수 있는 퇴직금 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사직서 내기 좋은 날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퇴직금 많이 받는 사직서 내는 방법 먼저 당연하게도 퇴직금 을 받기 위해서는 1년 이상을 근무해야 합니다. 1년 미만을 퇴사하면 아무리 열심히 일했어도 아무리 급여를 많이 받았다고 해도 퇴직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퇴직금 은 퇴직후 14일 이내 에 지급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14일 이내에 지급하지 않을 경우 퇴직금 .. 2023. 3. 7. 중도 퇴사시 근로자가 꼭 알아야할 급여 계산방법 총정리 ▷중도 퇴사 시 근로자가 꼭 알아야 할 급여 계산방법 총정리 평생직장 의 개념 이 사라진 요즘 각자의 목적이나 이유 등으로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거나 또는 이직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근로자가 다니던 직장 을 그만둘 때 꼭 알아야 할 몇 가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 : 퇴사 통보 기한 갑자기 다니던 직장 이나 아르바이트 등 을 그만둘때 과연 근로자 에게 피해가 가는게 있을까? 특히 근로계약서 작성시 그만두기전 30일전에 통보하지 않고 그만둘때 무단결근 으로 그 기간만큼 빼고 급여 를 지급한다거나 또는 손해배상 청구 를 한다거나 등등 의 이유를 근로계약서 에 기재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전부다 아무 효력 없습니다. 근로자 는 헌법상 직업선택 의 자유가 .. 2023. 3. 1. 임금피크제 위헌 대법원 판결 에 대한 임금피크제 적용규정 및 적용나이 와 임금피크제 지원금 임금피크제 적용 규정 및 적용 나이와 임금피크제 지원금 임금피크제 란 노동자가 일정 연령에 도달한 뒤 고용보장 또는 정년 연장을 조건으로 임금을 감축하는 제도 임금피크제 도입 목적 퇴직할 나이가 다가오는 고령 근로자들을 조금 더 회사에서 근무하도록 하되 회사에서 근로자들의 급여로 지출하게 되는 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한 목적 고령 근로자 의 회사 근속 연수에 따란 급여를 줄여 새로운 신입 근로자를 고용하여 고용 안정화를 하기 위한 목적 ※ 임금피크제 의 목적과 취지는 좋았으나 실질적 회사에서는 고령 근로자의 임금은 임금피크제 란 이유로 삭감하면서 신규 근로자를 채용하는 그러니까 청년 일자리가 늘어나는 효과는 미비하여 결국 고령 근로자의 임금만 삭감되는 현상만 초래하게 되었습니다. 최근 임금피크제 대.. 2022. 6. 6. 이전 1 다음 300x250